반응형
📘 자동 목차
화재 인지 즉시 해야 할 행동
- "불이야!"라고 외쳐 주변에 알리고, 화재 발생을 신속히 전파한다.
- 화재 위치와 규모를 파악한 후 119에 신고하여 주소와 층수,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.
- 화재가 작은 경우에는 소화기나 옥내소화전을 이용해 초기에 진화 시도하되, 확산되면 즉시 대피한다.
- 연기가 심한 경우에는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코와 입을 막고 자세를 낮춘다.
- 대피 중에는 문 손잡이를 손으로 만져 고온 여부를 확인하고, 뜨거우면 다른 경로로 이동한다.
안전한 대피 경로 확보
- 비상구와 계단을 활용해 신속히 하향 대피한다.
- 대피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. 화재 시 작동 중단 또는 연기 흡입 위험이 크다.
- 피난 계단으로 이동하며 문은 닫고 나간다. 이는 연기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하다.
- 불이 난 방향과 반대쪽 비상계단을 사용하며, 장애물이나 유독가스가 있을 경우 창문 등으로 구조 요청한다.
- 가능하다면 층별 비상벨을 누르거나 화재경보기를 작동시켜 추가 안내를 유도한다.
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이유
- 화재 시 정전 위험이 높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안에 갇힐 수 있다.
- 연기 확산 경로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해 빠르게 이루어진다.
- 화염으로 인해 전기 제어 장치가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다.
- 구조 활동의 방해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사용은 금물이다.
구조 요청 및 후속 대응
- 고립되었을 경우 휴대폰 라이트나 천으로 손을 흔들어 구조 신호를 보낸다.
- 문틈이나 창문 틈새를 젖은 수건이나 천으로 막아 연기 유입을 줄인다.
- 출입문 근처에 연기가 없다면 바닥에 엎드려 공기 흐름 확인 후 이동한다.
- 구조대 도착 전까지 차분히 위치를 유지하며 물과 젖은 천을 활용해 생존 환경을 확보한다.
- 119와 통화 중일 경우 절대 전화를 끊지 말고 상황을 지속 전달한다.
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네. 초기 진화가 불가능하면 지체 없이 대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아이를 안고 낮은 자세로 이동하며, 얼굴을 천으로 감싸 연기 흡입을 최소화하세요.
연기 흡입 여부는 증상이 없어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병원 진료를 권장합니다.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요약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날아다니는 꿈의 상징 (0) | 2025.07.09 |
---|---|
강아지 꿈의 상징적 의미 (0) | 2025.07.09 |
아이돌 커플 결혼 트렌드 분석 (0) | 2025.07.04 |
여름철 대표 보양식 5가지 추천 및 효능 소개 (0) | 2025.06.18 |
한쪽 어깨로 포인트 주는 원숄더 반팔 스타일링 가이드 (0) | 2025.06.16 |